매일, AI 기사를 만나보세요

보다보면 나만의 아이디어가 떠오를지도?

“우울할 땐 AI와 대화를”… 이용자 심리 파고드는 AI

작성자
오더
작성일
2025-07-22 10:40
조회
134

스마트폰 챗봇 앱 ‘제타’ 6월 사용시간이 5,248만 시간으로 챗GPT보다 1,000만 시간 길었다. 텍스트 생성 AI 이용자 10명 중 6명은 “대화 상대가 필요해서” 챗봇을 쓴다. ‘라임AI’(스트레스 분석), xAI ‘그록’ 컴패니언 등 감정 교감을 전면에 내세운 서비스도 속속 등장한다. 반면 스탠퍼드 연구(2024)는 정신 질환 사용자에게 부적절 답변 비율이 20% 이상이라고 경고하며, 실제 AI 챗봇 대화 후 극단 선택 사례도 보고됐다. AI가 정서 지원 도구로 급부상하는 만큼 개인정보·정신건강 보호 기준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생각해볼만한 점@

1. AI 챗봇이 내 기분 기록을 학습해 서비스 품질을 높인다면, 그 데이터 소유권은 누구에게 있을까?

→ 챗봇 서비스 약관에서 ‘데이터 사용 목적’ 항목을 찾아 핵심 문구만 2문장으로 적어 보세요.

2. 학교·학원 CCTV까지 AI 분석이 확대되면, 영상 속 아동·교사의 얼굴·행동 데이터 보호를 위해 어떤 기술·제도 장치를 마련해야 할까?

→ ‘실시간 익명화(모자이크)’나 ‘영지식 증명형 접근권한’ 사례를 검색해 요점을 2~3줄로 정리해 보세요.

@탐구해볼만한 과제@

1. AI 챗봇 조언 체험하기

→ 제타 또는 챗GPT에게 “시험 스트레스를 줄이고 싶어”라고 말해보세요. 챗봇이 제안한 방법 중 바로 따라 할 수 있는 것 1가지를 골라 오늘 실천해 보고 노트에 ‘효과 있음/없음’ 표시해 보세요.

2. 챗봇 답변 안전성 셀프 체크

→ 같은 질문을 챗GPT·제타·빙Copilot에 던지고, 위험 표현(자해 조장 등)이 있는지 O/X 표로 비교해 보세요.

3. 일주일 챗봇 의존도 기록하기

→ 스마트폰 스크린타임에서 챗봇 앱 사용 시간을 매일 기록해 막대그래프로 그려 보세요. 가장 긴 요일은 무엇인지 관찰해 보세요.

#인공지능 #인공지능윤리 #인공지능뉴스 #인공지능기사 #AI #AI기사 #인공지능세특 #세특 #입시 #AI세특 #GPT #GPT4 #ChatGPT #인공지능용어 #인공지능지식 #인공지능상식 #AI상식 #AI용어 #AI지식 #AI기술 #AI챗봇 #정서지원 #외로움해소 #데이터소유권 #CCTV익명화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