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AI 기사를 만나보세요

보다보면 나만의 아이디어가 떠오를지도?

AI가 노벨상을?

작성자
오더
작성일
2023-10-03 16:11
조회
901

2020년 이전까지 인간이 밝혀낸 인체 단백질의 구조는 17%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구글 딥마인드의 AI '알파폴드'를 통해 단백질 구조 예측에 혁신적인 성과를 이뤄냈습니다.

이로써 2억개의 단백질 구조가 확인되었으며, 36만5000여 종의 단백질 3D 구조를 예측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성과로 미국 래스커상이 수상자로 구글 딥마인드 CEO 데미스 허사비스와 과학자 존 점퍼를 선정하였습니다.

래스커상 수상자들이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항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과연 노벨생리의학상까지 수상할지 궁금해집니다.

생각해봐야 할 것들:

1. 과학 연구와 AI: AI 기술은 과학 연구에 혁신적인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AI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발견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2. 노벨상과 AI: 이번 래스커상 수상으로 인해 AI가 노벨상과 같은 권위 있는 과학상을 수상할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 AI의 연구 성과를 어떻게 인정할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입니다.

3. 의학과 AI: AI를 활용한 단백질 구조 예측은 질병 연구와 치료 분야에 혁신적인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알츠하이머 치매와 같은 질병의 원인을 이해하고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4. AI의 공개성: 딥마인드는 알파폴드를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로 공개하여 연구자들과 협력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개성은 미래의 과학적 발전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https://www.mk.co.kr/news/it/10836195


#인공지능윤리 #인공지능뉴스 #인공지능기사 #AI #AI기사 #인공지능세특 #세특 #입시 #AI세특 #GPT #GPT4 #ChatGPT

#인공지능용어 #인공지능지식 #인공지능상식 #AI상식 #AI용어 #AI지식 #AI공부 #인공지능공부 #인공지능시사 #생성형AI

#인공지능시대 #AI시대 #AMCULAB #의학AI #과학연구 #단백질구조 #래스커상 #노벨상

전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