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AI 기사를 만나보세요
보다보면 나만의 아이디어가 떠오를지도?
60개국 '인류·지구 위한 포용적·지속가능한 인공지능(AI) 선언문' 발표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인공지능 행동 정상회의(AI Action Summit)'에서 전 세계 60개국이 공동으로 "인류와 지구를 위한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인공지능(AI)" 선언문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선언문에서는 공공의 이익을 위한 AI 플랫폼 및 인큐베이터 출범,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AI 에너지 관측소 설립, 그리고 일자리 영향 관측 네트워크 구축 등의 구체적 행동 계획이 제시되었습니다. 87개 국가가 참여하고 약 1000여 명의 기업, 국제기구, 시민단체 대표들이 모인 이번 정상회의는 AI 글로벌 거버넌스를 논의하는 중요한 자리로, '안전', '혁신', '포용'의 가치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AI 발전과 국제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대한민국은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이 수석대표로 참석하여 한국의 AI 정책과 주요 성과들을 전 세계에 소개하며 글로벌 협력에 동참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인류와 지구를 위한 포용적·지속가능한 AI—국제 협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미래 구축@
1. 60개국이 발표한 선언문이 강조하는 ‘포용적’과 ‘지속가능한’ AI의 개념은 무엇일까요?
- 공공의 이익, 환경 보호, 일자리 영향 등 다양한 측면에서 AI가 추구해야 할 방향과 가치를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세요.
2. 선언문에 포함된 구체적 행동 계획(공공 AI 플랫폼, 에너지 관측소, 일자리 영향 네트워크)은 AI 거버넌스에 어떤 긍정적 영향을 미칠까요?
- 이러한 계획들이 각 국가 및 국제 사회에서 AI 기술의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어떻게 기여할지 탐구해 보세요.
3. 이번 정상회의와 선언문이 AI 글로벌 거버넌스 논의에 미치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 과거 AI 안전성 정상회의와 AI 서울 정상회의와의 연계성을 고려해, 글로벌 협력과 정책 조율의 필요성을 논의해 보세요.
4. 한국이 이번 정상회의에서 제시한 주요 정책들(예: AI기본법, 국가 AI컴퓨팅 센터, AI 교육 확대 등)은 전 세계 AI 정책과 어떤 차별점을 갖고 있을까요?
- 한국의 AI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사회에서 경쟁력 있는 AI 발전 전략을 모색해 보세요.
5. 향후 국제 사회가 AI의 공공성과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해 추진해야 할 협력 방안은 무엇일까요?
- 국가 간 협력, 기술 표준화,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 등 구체적인 개선 및 실행 전략에 대해 논의해 보세요.
#인공지능 #인공지능윤리 #인공지능뉴스 #인공지능기사 #AI #AI기사 #인공지능세특 #세특 #입시 #AI세특 #GPT #GPT4 #ChatGPT #인공지능용어 #인공지능지식 #인공지능상식 #AI상식 #AI용어 #AI지식 #AI기술 #인공지능선언문 #AI행동정상회의 #지속가능한AI #포용적AI #글로벌AI거버넌스 #과기정통부 #국제협력 #AI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