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런 의문이 들겁니다
기존의 강의랑 뭐가 다른데요?
굳이 비싼 돈을 내야 해요?
본 강의는 무료로 제공하는 ‘(VR)하루 30분 대학생 수준의 AI지식 쌓기 강의’에 핵심 심화 내용이 추가되었습니다.
본 강의는 Jason박사와 인공지능 관련 세특 탐구 주제의 1:1코치권이 1회 제공됩니다
(1:1코치권은 얼리버드 서비스로 사전 공지없이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본 강의를 수강하면 대학교 1, 2학년 전공 수준의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의 기초 지식을 알게 됩니다.


쉽게 볼 수 있는 유튜브나 이러닝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취업준비생을 위한 코딩 강의와는 다르게 대학교 1,2학년 수준의 인공지능 기초 지식을 중·고등학생의 수준에 맞게 제작된 강의입니다
학종으로 대학을 가려는 수험생, 편하게 인공지능에 대해 이해하고 싶은 수험생 매일 30분, 한 달이면 대학교 교수님과 30분 간 인공지능에 대해 대화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
⚠️ 세상이 바뀌었습니다
이제는 문과, 이과 상관없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주제로 학종을 준비해야 합니다
언제나 이렇게 말하면, 입시 정보를 잘 모르는 수험생과 학부모님은 말합니다.
“문과인데요?”
“이과지만 컴퓨터공학, 인공지능학과, 소프트웨어학과가 아니라 필요 없는데요?”
.
.
.
맞는 말입니다
다만
최상위 0.1%만 알고 있는 입시 정보를 모르는 여러분에게만 맞는 말입니다
경쟁자보다 한 발 앞서고 싶다면, 내 실력보다 조금 좋은 대학에 가고 싶다면, 아래의 글을 읽어주세요 |
모두 잘 알고 있습니다.
대학 입시는 정보의 싸움입니다.
스카이 캐슬
언제나 최상위 0.1%만이 알고 있는 정보는 존재합니다.
세특 탐구 주제를 고민하는 학생은 이런 의문을 가질 겁니다
인공지능/빅데이터 분석을 세특 탐구 주제로 정해야 한다고?
왜⁉️
알고 있었나요? 교육부는 2020년부터 대학에 AI 관련학과를 만들도록 강요하고 있습니다.
(출처: 전국민 AI·SW 교육 확산 방안, 2020)
교육부는 문과라도 AI융복합 학과를 만드는 대학에게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고 있습니다.
문·이과 상관없이 인공지능을 이용한 융합 연구를 하는 교수님께 연구비를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수험생이니까, 교육부가 발표한 2022년 개정교육과정은 읽어 보셨겠죠?
2025년 부터, 고등학교에서 ‘인공지능 기초’ 를필수 교과목으로 지정했습니다
현재, 초·중·고등학교 선생님들은 2025년을 대비하여 AI 교육을 받고 있습니다
대학은 AI와 관련된 교육으로의 전환을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대학은 정부와 교육부의 지원금을 받기 위해 AI 교과목을 늘리고 있습니다
머나먼 이야기 같지만 대학에 입학하면 문·이과 상관없이 인공지능을 배웁니다
최근, 모든 대학은 교수를 새로 뽑을 때도 인공지능 전공자를 우대하고 있습니다
공대뿐만 아니라, 경영학과, 경제학과, 신문방송학과 등에서도 인공지능을 전공한 교수를 채용하고자 합니다
교육부와 대학의 의도가 보이나요?
앞으로 문·이과 상관없이 교수님들은 AI를 적용한 연구를 하겠다는 거고
학과와 상관없이 인공지능을 잘 알고 있는 학생을 키우겠다는 의미입니다
이제, 한 가지 질문을 해봅시다
여러분이 학종을 위해 세특을 준비한다면 탐구 주제로 어떤 내용이 담기는 것이 좋을까요?
위의 글을 이해한 사람이라면 무슨 말인지 이해할 것입니다
강의 제공기간 : 60일
강의차시
강사 정보
댓글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
인공지능에 대해 어렵다고 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쉽게 이해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 세특에 인공지능을 어떻게 써야할 지 고민도 많았는데 자세하고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도움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학교에서 배우지 못하는 내용을 배워서 좋았어요. 딥러닝에 관심이 생겨서 찾아보다가 앞으로 어느 쪽으로 조사해야할 지 알게된 것 같아요
기본적인 개념을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줘서 좋았고 추가 자료까지 소개해줘서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